'안일한 대처가 투자자 피해규모 키웠다'...산업은행, 리스크관리 도마에
'안일한 대처가 투자자 피해규모 키웠다'...산업은행, 리스크관리 도마에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0.02.26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개월 전 예상된 ‘플루토’ 문제, 왜 산업은행은 몰랐나
플루토 자(子)펀드, 이미 4월부터 판매 중단
산은 판매 ‘레포플러스’, 플루토 母펀드 60% 편입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낳은 라임자산운용 펀드와 관련해 산업은행이  리스크 관리 부실로 투자자들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빚은 라임자산운용 펀드와 관련해 산업은행이 리스크 관리 부실로 투자자들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산업은행의 리스크 관리 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시중은행에선 이미 문제를 발견해 판매를 중단했던 상품과 관련이 깊은 펀드를 판매를 허용하는 등 안일한 대처로 투자자들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26일 산업은행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지난해 7월3일부터 8일까지 '라임레포플러스 9M(레포플러스)' 펀드를 판매했다. 해당 펀드의 총 판매금액은 60억원 정도로, 아직 환매가 이뤄지지 않은 펀드 잔액은 37억여원(28계좌)이다.

레포플러스에는 '라임플루토-FI펀드' 60%와 라임레포우량채권펀드 40%가 포함돼 있다. 라임플루토-FI펀드는 환매가 중단된 ‘플루토 FI D-1호’의 모(母펀)드이다. 플루토 FI D-1호는 작년 4월 가장 먼저 부실 가능성을 인지한 우리은행을 시작으로 하나은행 등 여타 시중은행들이 판매를 중단한 상품이다.

은행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은행들은 리스크가 존재하는 금융 상품의 판매 적절성을 판단하는 ‘상품선정위원회’를 꾸려 운영하고 있다. 위원회에서는 주로 금융상품 위험 테스트와 사후 관리를 담당한다.

라임운용펀드도 여타 펀드 상품같이 판매전 각 은행마다 수익성과 예상 손실률 등에 대한 점검이 이뤄졌다. 산업은행도 다른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같은 테스트를 진행했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당시 산업은행 상품선정위원회가 해당 상품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 한 결과 아무 이상이 없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대목에서 산업은행의 대처가 아쉽다는 반응이다. 이미 자(子)펀드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이 되면서 여타 다른 은행들은 판매를 중단했는데, ‘문제없다’는 운용사의 말만 믿고 판매를 진행한 점은 안일한 대처라는 지적이다. 지난해 6월은 금융감독원이 라임에 대한 이상 징후를 포착한데 이어 같은달 검찰에 라임 관계자를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 혐의로 넘기는 등 사태가 수면위로 떠오르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금융시장 한 관계자는 “현재는 라임펀드와 관련된 대부분의 정황이 드러난 시점이지만, 정보 노출이 크지 않은 사모펀드 특성상 당시만 해도 모펀드와 자펀드가 어떤 상품인지에 대한 인지도 없었을 것”이라면서도 “이미 판매를 중단한 은행도 있고, 산업은행이 조금 더 관심을 가졌다면 7월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투자는 막을 수 있지 않았겠느냐”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산업은행 측은 '우리도 피해자'라며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7월 판매 시점은 라임 부회장 개인의 일탈이 문제였고 상품이나 회사에 대한 문제는 없었다"며 "같은 기간 타 은행 역시 판매를 했다"고 말했다.

해당 상품을 판매할 당시 라임자산 측이 제시한 운용 방식은 사모사채와 유동화 증권 등 100% 확정금리형 상품으로 위험자산이 없었으나, 나중에야 확정금리형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운용을 했음을 알게 됐다는 설명이다. 사모펀드의 경우 공시 의무가 없는 특성상 자산운용사의 명망이나 실적 등을 기준으로 택하는데 당시에는 문제될 것이 전혀 없었을 뿐더러, 알려온 운용 계획 역시 실제 운용된 방식과 전혀 달랐다는 부연이다.

당시 라임자산운용사와 관련한 의혹들에 대해 재확인을 해봤냐는 질문에 관계자는 "상품 자체나 운용사 평판 리스크 차원에서도 문의를 했지만, 라임 측에서 거절했다"며 "두 달 뒤에 자료를 준다고 했는데 그때도 주지 않았고 10월에 갑자기 환매를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모펀드 특성상 판매사가 요청하면 운용사가 자료를 줘야 하는 의무가 당시에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