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의 족쇄 벗어난 우리은행 '자율경영' 날개 단다
예보의 족쇄 벗어난 우리은행 '자율경영' 날개 단다
  • 김시은 기자
  • 승인 2016.12.21 14: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이트페이퍼=김시은 기자] 우리은행이 16년간 묶여있던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의 올가미로부터 풀려났다. 예보의 간섭과 제한에서 벗어나 '자율경영' 날개를 달 전망이다. 

과점주주방식으로 우리은행 지분 매각을 마친 예보는 지난 16일 우리은행과의 경영이행약정(MOU)를 해지했다. 21일 우리은행에 따르면 예보는 그간 이행약정을 유지해옴에 따라 우리은행의 경영계획, 임금체계, 노사관계, 사외이사 선임 등에 지시하고 감독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해왔다.

특히나 우리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한 부분은 판매관리비 비율에 대한 통제였다. 예보는 우리은행의 판관비가 영업이익의 일정수준을 넘지 못하게 제한해왔다. 때문에 우리은행은 판관비에 포함되는 성과급이나 인건비를 자유롭게 쓸 수 없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판관비 비율제한 때문에 과거 직원들은 달성한 성과만큼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 성과 동기와 생산성이 떨어지는 면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민영화 성공 이후 지난 20일 단행한 대규모 승진 인사도 이에 대한 보상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판관비 제한과 더불어 1인당 조정 영업이익 통제에서도 벗어나 인력조정 역시 수월해질 전망이다. 명예퇴직은 일시적으로 큰 비용이 발생하고 인력채용 역시 임직원 수 대비 영업이익을 나타내는 1인당 조정 영업이익의 변동을 야기하기 때문에 쉽게 진행할 수 없었다. 

투자자의 의사를 반영한 CEO를 선임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이는 독립적인 책임경영 체제 확립을 가능케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장기적 수익을 극대화하는 일도 수월해진다. 매년 예보로부터 평가계획을 보고하다보니 단기성과에 집중해야 했다. 그렇다보니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게 우리은행의 설명이다.

특히나 총자산순이익률 관리에서 자유로워져 장기적인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투자에 적극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지금까지는 큰 비용이 드는 IT 시스템에는 총자산순이익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로 쉽게 투자하지 못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 예보의 관리지표는 우리은행의 중장기적 성장보다는 매기 공적자금 회수에 관심이 가도록 구조화돼 있었다”며 “예보와 우리은행이 각각 성과연동요인, 동기유인이 달랐던 셈”이라고 설명했다.

대고객 관점에서는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의미가 크다. 

한편 금융당국은 과점주주들의 경영 자율성 보장에 대한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15일 우리은행 과점주주 5곳의 대표들을 만나 경영 간섭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임 위원장은 “우리은행의 자율 경영에 대한 정부 약속은 반드시 지켜질 것” 이라며 “우리은행의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는 차기 행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