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지식] ‘벼의 마누라’ 번개의 다른 이름
[책속의 지식] ‘벼의 마누라’ 번개의 다른 이름
  • 박세리 기자
  • 승인 2016.04.28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 정문주 옮김 | 더숲

[화이트페이퍼=박세리 기자] 일본에서는 번개를 ‘벼의 마누라’라고 부른다. 어쩌다 붙게 됐을까.

일본어로 번개를 이나즈마(いなずま)라고 부른다. 이나즈마라는 말의 한자는 ‘벼 도(稻)에 아내 처(妻)’를 쓰는데 이유가 남다르다.

<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더숲.2014)에 따르면 질소는 작물에 꼭 필요한 영양분으로 인산, 칼륨과 함께 비료의 3대 요소다. 질소가 작물에 필요한 이유는 단백질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 때문이다. 식물은 단백질로 잎과 뿌리와 줄기를 만들어 몸을 성장시킨다.

질소는 공기의 약 80%를 차지하지만 식물 대부분은 공기 중의 질소를 직접 흡수할 수 없어 대기 중에서 흙에 녹아든 질소를 뿌리를 통해 흡수해야 한다. 대기 중의 질소가 흙에 흡수되는 경로는 크게 두 가지인데 그중 하나가 번개의 방전작용인 것.

번개가 치면 공기 중의 질소가 물속에 몇 톤이나 녹아든다. 공기 중의 질소가 비에 녹아들면 그 물이 땅을 비옥하게 하고 그 덕분에 벼가 여문다. 그래서 번개를 벼의 마누라라고 한다. 물론 고대부터 사용한 이름이지만 옛사람들은 이런 과학적 원리를 몰랐을 것이다. 선인들의 오감과 경험이 만든 통찰이 놀랍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