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전기차 대결 치열한데”...전격 출사표 던진 LPG車
“수소차-전기차 대결 치열한데”...전격 출사표 던진 LPG車
  • 김예솔 기자
  • 승인 2019.03.14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로 위 잊혀져갔던 LPG차...이달 말부터 누구나 구매 가능”
“LPG차, 디젤차·가솔린차-수소차·전기차 '징검다리 역할' 하나"
국회는 본회의에서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이 처리되면서 소비자들은 이용이 제한됐던 LPG차량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사진=연합뉴스)
국회는 본회의에서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이 처리되면서 소비자들은 이용이 제한됐던 LPG차량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김예솔 기자]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의 이용제한 규제가 풀리면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한층 넓어질 전망이다.

지난 13일 국회는 본회의에서 일반인이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이는 정부 이송 후 국무회의를 거쳐 빠르면 이달 말이나 내달 초 시행될 예정이다.

이로써 소비자들은 택시·렌터카 등에 이용이 제한됐던 LPG차량을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정부가 전폭적으로 수소차와 전기차를 지원하는 가운데, LPG차가 두 친환경차를 비집고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 미세먼지에 37년 만에 빗장 풀린 LPG차...구입매력도 ‘물음표’

37년 만에 이용제한이 폐지되면서 LPG차량 보급이 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에 LPG차량의 이용제한을 푼 가장 큰 이유는 디젤차나 가솔린차에 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현저히 적기 때문이다. 게다가 LPG가격은 휘발유와 경유의 60% 수준으로 저렴해 수요가 상당 부분 있을 것으로 판단해서다.

정부는 이번 규제 완화로 LPG차량 등록 대수가 오는 2030년까지 282만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982년 도입된 LPG차량은 2011년 244만대로 정점을 찍은 이후, 해마다 줄어들어 지난해에는 205만까지 감소했다.

그러나 벌써부터 소비자들이 LPG차를 택할지 의문이 제기된다. LPG차는 디젤차나 가솔린보다 상대적으로 연비와 출력도 낮으며, 기술력도 인프라도 2010년대에 머물러있는 상태다. 현재 운영 중인 LPG 충전소는 전국 2030곳으로, 200만대가 넘는 LPG차량의 연료를 수용하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LPG차 확대로 유류세 감소가 불가피해지면, 정부가 부족한 세수를 충당하기 위해 LPG 가격을 올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만일, LPG 가격이 오르게 되면 최대 장점인 ‘가성비’에 금이 가는 셈이다.

특히, LPG차량 모델이 제한적인 것도 소비자들에게는 구매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LPG차를 이용하는 국가가 전세계적으로 많지 않은데다가, LPG차를 생산해온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신차를 출시하지 않거나 일부 모델을 단종 시켜왔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LPG 모델로는 현대차의 아반떼·쏘나타·그랜저·스타렉스, 기아차의 모닝·레이·K5·K7, 르노삼성차의 SM5·SM6·SM7 정도다. 수입차는 LPG차 모델이 전무한 상태다.

■ 車산업 과도기...LPG차, 친환경차시대 '가교 역할'하나, '샌드위치' 되나

정부는 LPG차가 미래 친환경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에 '징검다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PG차가 수소차와 전기차가 대중화하기 전까지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히기 때문이다.

일단 LPG차량의 보급 확대를 위해선 정부가 규제완화에 이어 후속조치를 마련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적당한 ‘당근’이 있어야 수요와 함께 인프라를 끌어올릴 수 있어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근시안적 대책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미세먼지 저감 조치를 위해서라도 수소차와 전기차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시키는 게 더욱 효과적이라는 이유에서다.

수소차는 '궁극의 친환경차'로 불리고 있으며, 전기차도 대표적 무공해 차량으로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LPG차보다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정부는 수소차와 전기차 ‘두 트랙’으로 친환경차를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세웠지만, 이마저도 수소차와 전기차를 동시에 육성하는 ‘이원화 전략’이 효과적인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올 초 정부는 수소경제를 선언하면서 수소차 육성에 시동을 실었지만, 이제 대중화되기 시작한 전기차를 소홀히 할 경우 자칫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쏟아지기도 했다.

이처럼 친환경차의 정책적 분산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LPG차 보급안을 적정하게 마련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될 대목이다.

일단 정부의 든든한 지원 아래 두 친환경차는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수소차는 작년 한 해 총 712대가 보급돼 지난 5년간의 보급량보다 4배 이상 높은 성과를 냈다. 지난해 말 기준 등록된 차량 대수는 총 893대다.

전기차는 지난 2011년 338대 보급을 시작으로 연평균 2배씩 많이 보급돼 지난해에는 2만9000대가 보급됐다. 작년 말 기준 등록된 차량 대수는 총 5만7000대에 달한다.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전기차 43만대, 수소차 6만7000대를 보급해 친환경자동차 대중화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다.

업계에서는 LPG차 수요가 획기적으로 늘어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다소 우세한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미 화석연료차의 대안으로 수소차, 전기차가 각광받고 있는데, 소비자들이 굳이 LPG차를 택할지 의문”이라면서 “수요가 적으면 인프라 확장도 더뎌질 수밖에 없는데, 오히려 불확실성 시장 전망에 구매에 망설이는 소비자들이 대다수일 것”이라고 말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