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2000만달러..10년 만에 최대↓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3만2000만달러..10년 만에 최대↓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0.06.02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장률 둔화·원화 약세 영향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2115달러(약 3743만원)로 잠정 집계됐다. 이런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사진=한국은행)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2115달러(약 3743만원)로 잠정 집계됐다. 이런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사진=한국은행)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최대로 감소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2일 한국은행은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2115달러(약 3743만원)로 잠정 집계됐다. 이런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대로 저조한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까지 겹쳐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내렸다.

우리나라는 2017년에 3만1734달러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올해는 1인당 GNI는 명목 GDP가 얼마나 오르느냐, 환율이 얼마나 변동하느냐에 따라 3만 달러 유지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381달러(2026만원)로, 2018년(1만8063달러)보다 3.8%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준다.

총저축률은 1.3%포인트 내린 34.7%다. 2012년(34.5%) 이후 가장 낮다.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가계순저축률은 6.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0.3%포인트 내린 31.2%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한편,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피용자보수(급여)를 국민소득(NI)으로 나눠 구한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