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일의희곡나라]④“이어령의 숨은 희곡!”
[장정일의희곡나라]④“이어령의 숨은 희곡!”
  • 북데일리
  • 승인 2008.02.29 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데일리] 이어령의 유일한 희곡집 <기적을 파는 백화점>(문학사상사. 2003)은 1984년 갑인출판사에서 초간 된 바 있으나, 문학사상사에서 전집 형태의 ‘이어령 라이브러리’를 기획․ 발간하면서 재간되었다.

선생은 문학비평에서 문명론에 이르기까지 워낙 다양한 방면에서 지가(紙價)를 높여온 터라, ‘이어령이 희곡도 썼어?’라고 반문할 독자도 많을 듯하다. 하지만 나는 그런 독자를 타박하지 않으련다.

왜냐하면 나 역시도 한창 ‘문청’의 객기를 부리고 있던 고향 도시(대구)에서 초간된 이어령 희곡집을 발견하고서는 그렇게 느꼈으니까. 그리고 더욱 부끄러운 것은, 채만식(1902~1950) 선생의 희곡집이 있다는 것을 그 보다 훨씬 늦게서야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채만식․이어령 선생은 활동 연대와 장르가 확연히 다르긴 하지만, 우리나라 근․현대 문학을 거론할 때, 오랫동안 빠지지 않을 분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은 두 분의 극작 을 제대로 읽어본 바가 없다.

까닭은 먼저 그들의 극작 활동에 지속해서 의미를 부여할 평론의 자리가 없다는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우리나라 문학 독자들의 상상력 속에는 평론가나 소설가․시인들이 희곡을 쓸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아예 소거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예컨대 위로는 최인훈에서부터 황석영․이문열 같은 일급의 소설가들과 황지우 같은 당대의 시인들이 각기 한 권씩의 희곡집을 내놓고 있지만, 평론가나 독자들의 관심은 그들의 시나 소설에 국한된다. 우리나라의 독자나 평론가들은 시인․소설가 또는 평론가들의 극작을 ‘본업에서 벗어난 심심풀이 외도’ 정도로 치부하면서, 사르트르나 카뮈 같은 서구의 작가들이 극작을 한 사실 앞에서는 ‘대단히 개방적인 문화 풍토와 다방면에 걸친 작가의 능력’을 감탄한다.

그런 독자가 있다면 내가 무척 좋아하는 폴 오스터와, 그렇게 좋아하지는 않지만 국내에서 인기가 있는 아멜리아 노통브의 희곡이 번역․출간되어 있다는 사실을 덤으로 가르쳐 드린다.

<기적을 파는 백화점>은 표제작을 비롯 도합 다섯편의 희곡이 실려져 있다. 공연 연보를 보니 1976년에 초연된 표제작에서부터 1979년에 초연된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까지 작가는 4년 남짓 극작에 몰두한 모양이다. 70년 중․후반의 한국(서울) 연극계가 어땠는지는 나 자신이 지방에서 청춘을 떠보낸 촌놈인지라 전혀 알 수 없다.

하지만 이 작품집에 실린 다섯편의 작품을 읽고나서 드는 생각은, 이 작품들이 쓰여지고 공연된 1976~1979년까지의 서울 연극계에서 ‘이어령의 극작품은 일종의 이물질이 아니었을까?’라는 것이다.

이어령 희극의 특징은 사실주의적인 전제를 거부하며 극적인 플롯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대신 극의 전면에 나서는 것은 도저히 현실 같지 않은 관념적인 상황 제시와 언어 유희다.

이 점은 당대의 한국 극계를 지배하고 있던 차범석류의 잘 짜여진 플롯과 사실주의적인 극 전통과도 틀리고, 우리나라 전통연희나 역사로부터 극의 형식과 소재를 찾아 실험하곤 했던 젊은 오태석과도 매우 다르다.

표제작은 말 그대로 ‘기적’을 파는 백화점이다. 거기서는 세 가지 상품이 팔리는데 그것은 시간․꿈(희망)․지식이다. 이 상품들은 사고 파는게 가능할 것 같지 않은 상품이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시간․꿈․지식이야말로 우리가 사지 못해 안달하는 것들이다.

실제로 우리들은 시간․꿈․지식을 소유할 수 있는 여러 기술을 돈 주고 배우고 있는데, 예를들자면 시테크․진로상담․학원들이 거기에 해당한다. 이런 의미에서 ‘기적’을 파는 백화점은 그럴듯하지 않다고 여길 수 없다. ‘기적’을 파는 백화점은 그야말로 우리가 길거리에 나가면 힘들이지 않고 대할 수 있는 24시간 편의점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어느 순간 현실의 은유를 벗으며, 낯선 것으로 표변한다. 아무도 시간․꿈․지식을 원하지 않거나, 그것들을 바로 사용하기 위해 사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간절해서 그 상품들을 샀던 사람들은 모두 불행해 진다는 것.

관념적인 상황 제시를 통해 현실의 모순이나 인간의 비극적 존재 양태를 보여주는 것은, 원래 부조리극 작가들의 특기였다. 이오네스코나 베케트의 극은 모두 그렇게 시작된다. 그런 점에서 <기적을 파는 백화점>은 부조리극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작품이라고 보아도 좋다.

더욱 흥미롭게도 방금 살펴본 <기적을 파는 백화점>에서는 시간․꿈․지식을 사간 사람만 파멸하는 게 아니라, 마지막엔 그것을 파는 두 명의 여자와 한 명의 남자 판매원이 모두 미치거나 자살하거나 절망에 빠진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신의 죽음이다.

그들은 인간에게 아무런 은총도 주지 못한다. 신이 죽어버린 현대인에게는 진정한 시간․꿈․지식의 가치는 사라지고, 비유하자면 24시간 편의점에서 살 수 있는 싸구려 시테크․진로상담․학원만 남는다. 이렇듯 신의 죽음을 재확인한다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부조리극의 자장 안에 있다.

이오네스코나 베케트의 극작은 현실에서는 있을 법하지 않은 관념적인 상황 제시와 함께언어의 소통 가능성에 강한 의문을 병행한다. 까닭은 현실을 낯설게 보기 위해서는 먼저 언어의 자명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었거나, 반대로 언어에 대한 불신이 현실에 대한 해체 욕구를 촉발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조리극의 자장 안에 있는 이어령의 작품은 언어에 대한 불신이나 유희가 매번 등장한다. <기적을 파는 백화점>에 나오는 ‘나폴레옹의 사전’은 그 한 예다.

시종 폐하, 아무래도 사전 편찬을 다시 해야겠습니다. 이번 기회에 곡 증보판을 내셔야 합니다.

나폴레옹 또 그 소린가? 내 사전에는 절대로 불가능이란 말을 넣을 수 없다고 했잖어! 증보판을 내면 이미 그건 나폴레옹 사전이 아니란 말야. 불가능이란 말을 넣 는 순간 나는 그 사전의 판권을 잃게 되는 거야. 재론하지 말게. (이때 1812년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이 들려온다)

시종 기분 나쁜 음악이군. 저 음악을 꺼라.

나폴레옹 예, 페하 바로 저겁니다. 저것은 1812년 폐하가 모스크바에서 총퇴각을 하던 패전상황을 묘사한 음악입니다.

시종 그런데 왜 저렇게 우렁찬가.

나폴레옹 그야 승전한 러시아 놈들의 기쁨을 노래한 것이니까요. 그때에도 페하의 사전에는 불가능이란 말이 없으셨던가요.

시종 내가 그때 패망한 것은 오히려 불가능이란 없다는 말을 증명하는 사건이었다. 사람들은 나폴레옹을 절대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했었지. 그런데 러시아 쥐새끼들이 내 말을 표절하여 감히 그 불가능에 도전하기 시작한 거야. 나는 패했지만 패함으로써 불가능이 없다는 내 철학과 꿈은 증명된 것이다.

한 사람의 권력가 또는 궤변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게 사전이라면, 우리가 쓰는 언어 역시 그처럼 믿을 수 없는 게 되고 만다. 하므로 부조리 인식을 이해하는 중요한 관건 가운데 하나는 언어에 대한 인식일 수 밖에 없다.

부조의식 이전에는 이름과 실체의 괴리가 없이 언어와 대상이 1대 1로 상응한다. 아담이 모든 사물에 유일무이한 첫 이름을 지어 주었던 창세기, 혹은 내가 꽃이라고 부르면 곧바로 네가 꽃이 되는 시의 세계는 부조리가 틈입하지 않은 낙원과 같았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언어가 허위를 조장하는 불순하고 부정확한 것으로 화하면서, 세계에 대한 우리의 불화 의식도 증가한다. 예를들어 불법농지를 취득한 사람이 “자연의 일부인 땅을 사랑했을 뿐”이었다는 식의 말이 횡행하게 되면, 먼 훗날 사랑은 오늘과는 다른 뜻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런 뜻에서 <기적을 파는 백화점>에 나오는 대학교수나 <사자와의 경주>에 나오는 아내가 단어를 거꾸로 읽는 놀이를 해 보이는 것은, 세상의 허위와 맞대면하고 부조리 의식을 간취하고자 하는 자각한 인간의 안간힘이다. 물론 이 부조리한 세계를 극복하는데는 언어 유희만 가지고서는 부족하다. 두 주인공만 아니라 이 작품집의 모든 주인공은 실패하는 이유다.

다섯편의 희곡 가운데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와 <당신들이 내리지 않는 역>은 잘 짜여진 플롯이 작동하고 있으나, 표제작과 <사자와의 경주>․<오! 나의 얼굴>은 유희하는 언어를 위해 플롯이 뒤로 물러나 있는 형국이다. 이 세 작품의 주인공들은 부조리한 상황에 쫒겨 언어 유희에 몰두하게 되거나 아니면 언어에 대한 불신으로부터 현실의 부조리를 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교차 반복한다.

사족이다. 앞서 <기적을 파는 백화점>을 읽으면서 ‘신의 죽음’이 돌연 강조되었지만, 실은 이 작품집에 실린 모든 작품은 그보다는 ‘인간(주체)의 죽음’이 더 자주 선언된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신의 죽음’ 보다는 더 부조리극다운 세계관이다.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는 일찍이 신을 죽인 인간이 어떤 우상을 섬기게 됐으며, 그 우상에 의해 인간이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지를 흥미롭게 보여준다. 이번 희곡집을 몇 십여년 만에 다시 읽으면서, 한국에서의 부조리극의 수용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해 보고 싶은 욕구가 생긴 것은 가외의 소득이다. [소설가 장정일]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