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속 투쟁예열한 한국GM·르노삼성 노조...이번주 분수령
위기 속 투쟁예열한 한국GM·르노삼성 노조...이번주 분수령
  • 김예솔 기자
  • 승인 2019.09.02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전히 강경모드인 한국GM·르노삼성 노조"
"당장 위기 엄습하는데...가장 중요한 건 노사 상생"
국내 완성차업계가 임금 및 단체협상으로 노사 갈등을 겪으면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완성차업계가 임금 및 단체협상으로 노사 갈등을 겪으면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김예솔 기자] 국내 완성차업계의 위기가 가중되고 있으나, 올해도 파업 불씨는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불행 중 다행으로 ‘맏형’ 현대자동차 노사는 8년 만에 파업 없이 임금 및 단체협상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대내외적 위기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분규보단 상생을 도모하게 됐다.

이와 달리 한국GM과 르노삼성차 노사는 심상치않은 대치 국면에 접어들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주 양사가 임단협 교섭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분수령을 맞이할 전망이다.

■ 한국GM 노조, 전면파업으로 압박...‘군산공장 사태’ 잊었나

한국GM 노조는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뚜렷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전면파업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한국GM 노조는 이달 6일까지 사측이 명문화된 협상안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9일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노조는 지난 7월부터 사측과 여덟 차례 임단협 교섭을 가졌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기본급 5.65% 정액 인상, 통상임금의 250% 규모 성과급 지급, 사기진작 격려금 65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을 담은 임금협상 단체교섭 요구안을 사측에 제시했다.

여기에서 압박 수위를 보다 높이기 위해 노조는 지난달 20일부터 지금까지 총 네 차례 부분 파업을 진행했다. 같은 달 22일부터는 생산직 조합원들의 잔업과 특근 거부도 시작했다.

그러나 사측은 노조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경영상황이 정상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임금동결이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현재 한국GM이 직면한 위기는 예사롭지 않다. 한국GM이 지난 2014년부터 5년간 누적된 적자만 4조원에 달한다. 작년의 경우에는 8594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5월 군산공장 폐쇄로 존폐의 기로에 내몰린 이후 내수와 수출 모두 동반 부진을 겪고 있다. 경영정상화가 더뎌지면서 ‘한국 철수설’도 쉽게 잠재워지지 않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노조는 ‘강경모드’다. 노조는 다음 주까지도 사측의 입장 변화가 없다면, 예고했던 대로 전면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 르노삼성 노조, 여전한 파업 불씨...상생선언문 석 달도 채 되지 않아

르노삼성차 노조도 강경투쟁을 예고하면서 장내에는 전운이 감돌고 있다.

르노삼성 노사는 2일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단협 협상에 들어갔다.

이번 협상은 당초 예정대로 임금인상, 근로조건 개선 등의 안건을 다룰 것으로 보인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걸림돌은 구조조정 이슈다.

앞서, 르노그룹은 지난달 27일 생산량 감소로 구조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다. 르노삼성은 닛산 로그의 위탁물량이 이달 만료되면 생산량 감축이 불가피하므로 선제적 대비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미 르노삼성을 둘러싼 생산절벽은 엄습하고 있다. 올해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로그는 연간 10만 대에서 6만 대로 줄어들었다. 설상가상으로 이달 로그 계약이 끝나더라도 이를 대체할 후속 물량이 아직 없어 ‘생산 공백’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르노삼성은 부산공장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및 순환휴직을 검토 중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사측의 인위적인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고강도 투쟁을 예고한 상태다.

앞서, 르노삼성 노사는 지난해 임단협 협상을 1년 가까이 끌면서 ‘강 대 강 대치’를 이어가다가 올해 6월 극적으로 타결을 이룬 바 있다.

이 과정에서 노조는 총 60여 차례에 걸쳐 250시간 이상의 부분 파업을 벌여 사측에 수 천억원의 손실을 안기기도 했다. 당시 파업 장기화로 르노삼성의 경영상황이 악화되자 일각에선 ‘한국 철수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대내외적 위기가 고조될수록 노사 상생을 택해야한다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노조가 강경 대응을 고수한다면, 최악의 경우 모기업 본사에게 철수 명분을 만들어주는 꼴이 될 수도 있다”라면서 “경영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강경투쟁은 더 큰 화를 부를 뿐”이라고 제언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