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갑자기' 카드사는 '공공의 적'이 되었다. 자영업자나 정부의 눈에는 수수료로 먹고 사는 '갑'이 되어버렸고, 고객에겐 비싼 금리로 대출해주는 고리대금업자로 보였다. 수입이 훨씬 많은 대기업이 있음에도, 수수료 장사나 하는 못된 망아지가 되었다. 관할 당국인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은 카드사 호소에 귀를 막는다. 왜 금융회사 가운데 유독 카드사만 미운털이 박혔을까. 벼랑 에 몰리는 카드사의 현주소를 알아본다.-편집자 주
[화이트페이퍼=이혜지 기자] 카드업은 소비자와 가맹점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 카드사가 무언가를 생산하기 보다 연결을 해준다. 때문에 카드사와 관련된 정책들도 카드사들이 자기들의 입장만 주장하기가 애매한 부분이 있다. 빅데이터, 카드수수료 부가서비스, 카드 의무 수납제 등이 그렇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6월'카드산업 경쟁력 제고 TF'에서 내놓은 경쟁력 제고 방안에 신한·삼성·국민·현대·우리·BC카드 등 주요 카드사 신사업 진출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빅데이터 제공서비스 운영 등이 대표적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카드사들이 카드회원의 소비, 결제정보, 가맹점 매출정보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보유한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수익원을 발굴하라"며 "규제 샌드박스 등을 활용해 금융혁신을 마음껏 창출해내시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카드사의 빅데이터는 내부적으로 상품을 만들거나 고객을 관리할 때, 마케팅 할 때 활용되고 있다. 빅데이터 관련 법안이 통과 되면 카드사 입장에서도 포트폴리오 다양화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빅데이터 제도는 계류된지 오래다. 업계 관계자는 “빅데이터와 관련한 사업성을 검토하고 의사결정을 하기 이전에 법안이 통과돼야 하는데 언제까지 기다려야 할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단기간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카드업계 고위 관계자는 “산업계에서도 빅데이터 부문은 연구개발 투자로 최소 몇년을 바라보고 해야 하는 거라 수익이 단기적으로 날 수 있는게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빅데이터는 카드사 수익으로 직결돼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카드사 또다른 관계자는 “빅데이터 관련 시장이 만들어지기 위해선 고객 니즈가 커야 하는데 아직은 미약한 상태이고, 핀테크 업체가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가맹점 정보를 쉽게 열어볼 수 있게 제도가 마련돼 카드사가 아닌 IT나 핀테크 업체에게 유리하게 제도가 바뀌고 있다"고 토로했다.
빅데이터 산업이 핀테크사 눈치를 봐야하는 영역이라면 카드사가 또 요구하는 부가서비스 3년->2년 축소, 카드수수료 의무수납제 폐지 등은 소비자 요구와 충돌하는 부분이다.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사가 부가서비스를 만들면 3년 의무기간이 있는데 시장이나 환경이 급변하는데도 서비스를 긴 시간 유지하는 게 카드사 입장에선 곤란한 측면이 있다"며 "카드사가 마케팅을 하거나 상품을 만들 때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고객 민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야하는 게 카드사들 입장이라 애매하다는 것이다. 고객들 입장에서는 A 서비스가 해지되고 B 서비스가 생기면 혼돈이 올 가능성이 큰 게 문제다.
비슷한 이유로 카드수수료 의무수납제 폐지도 카드사들 입장에선 유리한 측면이 있지만 카드사는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카드수수료 의무수납제란 고객이 아무리 적은 금액을 신용카드로 결제해도, 자영업자가 거부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없애자는 게 현재 논의되는 사항이다.
카드사 관계자는 “고객이 카드를 내밀면 가맹점은 의무적으로 카드를 받아야 하는데 소액은 수수료 부담이 크다"면서 "하지만 대부분 소비자들이 카드를 현금보다 더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반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고객과 가맹점 사이에 낀 카드사 입장에서는 어느 쪽 손을 들어야 할지 애매한 상황인 셈이다.
때문에 카드사는 자기 목소리를 내려면 눈치를 봐야 한다. 카드업계 고위 관계자는 “카드사와 관련된 정책들은 고객과 카드사, 가맹점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해 항상 카드사 입장에서 주장하기가 애매한 측면이 많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