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기 연평균 13.6% 증가... ‘사무장 병원’ 중심 실손보험 사기 급증
보험사기 연평균 13.6% 증가... ‘사무장 병원’ 중심 실손보험 사기 급증
  • 박재찬 기자
  • 승인 2019.01.21 09: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사기 적발 규모가 지난 10년 동안 약 3.6배, 연평균 13.6%씩 증가했다. ‘사무장 병원’ 등을 중심으로 실손의료보험 관련 보험사기가 급증했다. (사지제공=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박재찬 기자] 보험사기 적발 규모가 지난 10년 동안 약 3.6배, 연평균 13.6%씩 증가했다. ‘사무장 병원’ 등을 중심으로 실손의료보험 관련 보험사기가 급증했다.

21일 보험연구원이 변혜원 김석영 연구위원이 발표한 ‘국내 보험사기 현황과 방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7302억원으로 지난 2007년 2045억원과 비교해 3.57배 증가해 연평균 13.6%의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상반기 보험사기 적발 금액은 약 4000억원으로, 지난 2017년보다 더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2017년 기준으로 보험사기 적발의 약 90%는 손해보험으로, 자동차보험이 가장 많았고, 장기손해보험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보험의 보험사기는 주로 정비업체가 연루돼 사고 피해를 부풀리거나 사고와 무관한 수리를 하고 보험금을 청구하는 방식이다. 장기손해보험이 보험사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5년 37.1%에서 2017년 41.7%로 크게 증가했다. 장기손해보험 중 실손의료보험 관련 보험사기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병원에 고용된 전문적 영업전담 인력이 무료 도수치료, 피부미용 시술 등을 미끼로 보험계약자를 보험사기의 공범으로 모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런 행태는 ‘사무장 병원’에서 빈번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보험사기를 줄이기 위해 관계기관 간 정보 공유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지난해 12월 보험개발원에서 운영하던 보험사고정보시스템(ICPS)이 신용정보원으로 이전됐는데, 보험업법에 근거해 사고 정보를 집적하던 ICPS와 달리 신용정보원은 신용정보법에 따르기 때문에 정보제공에 동의한 정보만 사용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기존에는 보험개발원이 자동차사고 피해자 정보를 집적하고, 보험사가 이를 조회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신용정보원이 미동의 정보를 집적할 수 없게 돼 보험사기 예방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경찰의 보험사기 수사와 관련해서도 “포상이 상대적으로 적어 수사에서 후순위가 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어 “피해 규모를 조금 부풀리는 것이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보험사기를 증가시키는 요소”라며 국민들의 인식 전환도 강조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