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갉아먹는 `철갑상어의 꿈`
인간이 갉아먹는 `철갑상어의 꿈`
  • 북데일리
  • 승인 2005.07.19 10: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갑상어는 연안이나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곳에 서식하는 회귀성 어종으로 알인 캐비어는 세계 3대 진미의 하나로 꼽힌다. ㎏당 도매가격이 30만원으로 철갑상어는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에 따라 수출입시에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국민일보 5월 26일자

지난 5월 26일 한강에서 철갑상어가 잡히자 나온 기사중 하나다. 국내에선 희귀어종인 철갑상어에 대한 관심과 함께 고가의 음식이란 시각도 엿볼 수 있다.

미 유전학자 존 C. 애비스의 책 `유전자의 변신 이야기`(뜨인돌. 2002)는 `야생 생물에 대한 법의학과 보존`에서 철갑상어의 생태환경과 `부도덕한 인간의 상거래`에 대해 폭로하고 있다.

철갑상어는 미식가들에게 식욕을 돋우는 최상의 전채음식으로 평가받는 `검은 캐비어`의 모체다. 특히 흰철갑상어의 알인 벨루가 캐비어와 오세트라 캐비어, 세브루가 캐비어 세종류가 어란 중에서 가장 큰 경제적 가치를 지녀 불법포획이 근절되지 않고 증가하는 추세다

이와 관련 지난 16일(토) 방영된 KBS1TV KBS스페셜은 `철갑상어의 꿈`은 철갑상어와 캐비어(철갑상어 알젖) 생산을 둘러싼 각 국의 치열한 경쟁과 번식을 위한 노력을 함께 보여줬다.

시청자들의 눈과 귀를 혹하게 만들었을 내용들은 아무래도 경제적 가치 부분이다. 캐비어의 가격은 최고급품의 경우 30그램에 무려 20만원이나 한다고. 러시아 황제 짜르와 이란 황제 샤의 식탁에만 올랐다는 캐비어는 러시아 혁명후 소련 정부의 주요 외화벌이 수단이 됐다.

게다가 구 소련 해체후 주산지인 카스피해에서 무차별 남획으로 철갑상어수가 급격히 줄자 `캐비어` 값은 급상승했다. 방송에선 1979년까지 1억 5천만 마리던 철갑상어가 소련해체뒤 4천만 마리로 줄어들었다고 소개됐다.

이처럼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자 눈독을 들인 것은 세계 각국 나라들. 미국 이탈리아 프랑스 중국 일본 이란 등이 대량 양식을 하면서 경제 이득을 노리고 있다. 특히 이란은 세계 최대 규모 양식장을 몇 개씩 지을 정도로 국가 차원에서 관리중이라고 방송됐다.

물론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인근 일본은 80년대 말부터 철갑상어 양식을 시작해 2천년부터 캐비어 생산을 시작했다. 우리나라는 90년대 말부터 수산기관 산하연구소들이 인공 종묘에 성공했지만 대규모 양식은 미미한 상태다.

여기까지 경제적 가치를 다뤘다면 `멸종` 부분은 철갑상어의 시각에 가까이 다가갔다. 구 소련 해체뒤 무차별 남획으로 철갑상어가 멸종 위기에 처한 사실은 인간의 탐욕을 잘 보여준다. 쌴샤(삼협)댐이 건설되면서 산란지를 잃고 멸종 위기에 처한 중국 철갑상어도 인간이 주는 대표적인 위협 사례다. 중국 철갑상어는 5m까지 자라는 대표적 헤비급 어종이다.

이에 반해 이란정부가 1970년부터 철갑상어를 양식하기 시작, 72년부터 방류하기 시작한 사실은 `인간과 철갑상어의 공존` 사례다. 지금까지 방류한 치어가 2천만마리에 이른다지만 성어가 되기까지 12년이 걸리고 캐비어가 생길 때까지 살아남는 어종이 3%에 불과하다는 사실은 인간의 세심한 배려를 역설한다.

다큐멘터리는 `철갑상어와 인간의 공존`을 이야기했다. 그러나 끝에 가서 찍힌 방점은 아무래도 `인간을 위한` 철갑상어의 보존이었다. 양식이나 치어 방류가 `철갑상어의 꿈`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환경 파괴로 인한 생태계 파괴보다는 각국의 양식 사례가 중요하게 다뤄진 점도 그러한 느낌을 높여준다.

(사진 = 철갑상어와 방류전 치어) [북데일리 김대홍 기자] paranthink@yahoo.co.kr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