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계획' 더 세밀해진다...洞단위로 맞춤형 발전
'서울 도시계획' 더 세밀해진다...洞단위로 맞춤형 발전
  • 김예솔 기자
  • 승인 2018.03.07 1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지난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의 후속 계획으로, 5개 권역·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나눠 맞춤형 도시계획을 제시했다. (사진=서울시)

[화이트페이퍼=김예솔 기자] 서울시가 최초로 동(洞) 단위의 세부 발전전략을 담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2030 서울생활권계획’을 4년 만에 최종 완성하고 본격적으로 이행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 계획은 서울시가 지난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의 후속 계획이다. ‘2030 서울플랜’이 서울을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나눈 광역계획이었다면, ‘2030 생활권계획’은 서울 전역을 5개 권역·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나눠 맞춤형 도시계획을 수립했다.

5개 권역은 ▲동남권(잠실·강남 일대) ▲동북권(창동·상계·청량리·왕십리)▲ 서남권(영등포·여의도·가산·마곡) ▲서북권(상악·수색) ▲도심권이 해당된다.

각 권역 내 행정동을 3~5개 단위로 묶어 116개 생활권으로 다시 세분화했다. 각 생활권에 대해서는 지역특성에 맞는 발전 방안을 ▲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안전 ▲역사·문화·관광 ▲ 복지·교육 등 7개 분야로 나눠 제시했다.

특히, 오는 2030년까지 상업지역 총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지역별 인구, 일자리, 상업지역 비율 등을 고려해 신규 상업지 배분 물량(134만㎡)을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북‧서북권에 집중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규 상업지 배분 물량의 74%를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각각 배정했다.

이와 함께, 주거시설이 낙후됐거나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생활권 중 2~3곳을 연내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이슈별 목표와 실천전략의 실제 진행상황을 평가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해 향후 계획에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이번에 수립한 생활권 계획을 모든 관련 및 하위 계획에 실제 적용키로 했다.

권기욱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2030 서울생활권계획은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 속에 4년간 만든 우리 동네의 '미래지도'"라며 "서울의 지역균형성장을 견인할 버팀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