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DNA 따위는 중요한 게 아니다
가족? DNA 따위는 중요한 게 아니다
  • cactus 시민기자
  • 승인 2015.08.13 2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모주 아키고의 『가족이라는 병』

[화이트페이퍼]우리가 크게 착각하는 것 하나가 있다. 바로 가족에 관한 것이다. 가족이니까 다 알아야 하고, 또 제일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과연 그럴까? 시모주 아키고의 『가족이라는 병』(살림.2015)은 가족에 대해 날카롭게 조언한다.

 저자는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솔직하게 들려주면서 객관적인 시선으로 가족을 말한다. 저자의 경우 어린 시절 아버지에게 크게 실망하고 관계를 단절했다. 암 투병을 할 때에도 아버지를 찾지 않았다. 어머니에게도 마찬가지다. 딸을 향한 어머니의 애정이 부담스러워 거리를 두었다.

 사회 생활에서도 대화의 주제가 가족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들과는 관계를 지속하지 않았고 결혼을 했지만 남편을 반려자라 부르며 독립적인 생활을 이어간다. 결속의 관계가 아닌 동행하는 삶을 지향하는 것이다. 보통의 부모 세대가 부모와 형제를 무조건 이해하라고 한다면 저자는 단호하게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하는 현대 사회에서 혈연으로 이어진 가족은 큰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 변화하는 시대상에 맞춰 가족도 변하는 게 당연하다.

‘마음이 먼저 있고, 그다음 가족이라는 틀을 만들어가야 진정한 가족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DNA 따위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111쪽)

 머리로 충분히 이해하면서도 가슴으로는 여전히 복잡하다. 가족은 어떤 의미인가. 가족에 대해 더 많은 걸 알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던가. 저자 역시 그런 생각을 피할 수 없지 않았을까 싶다. 책의 말미에 고인이 된 아버지, 어머니, 오빠에게 긴 편지를 통해 한 번도 하지 않았던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고 있으니 말이다. 독립적 자아로 서로를 존중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부모와 형제와 진솔한 대화를 나누고 있느냐는 물음을 던지는 책이다.

 ‘고독을 견디지 못하면 가족을 이해할 수 없다. 혼자임을 즐길 수 없으면 가족이 있어도 고독은 즐길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은 늘 혼자라는 것을 인식하고, 고독을 즐길 수 있어야 비로소 상대의 기분을 가늠하고 이해할 수 있다. 가족이나 사회 사람들이나 마찬가지다. 가족은 사회의 축소판이다.’ (129쪽)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