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통해 삶을 생각하다
집을 통해 삶을 생각하다
  • cactus 시민기자
  • 승인 2014.02.12 15: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귀은의 <엄마와 집짓기>

 [북데일리] 내 것이 되는 순간, 새로운 의미가 부여된다. 그것이 무엇이든 그렇다. 그러니 직접 만든 집은 어떨까? 그 떨림은 집을 짓지 않은 사람은 짐작조차 할 수 없는 감정일 것이다. 기존의 것이 아니라 순수한 창작물처럼, 생명이 깃든 것으로 여겨지지 않을까. 한귀은의 <엄마와 집짓기>(한빛비즈. 2013)이 그렇다. 단순히 집을 짓는 과정이 아니라 삶을 사는 이야기를 들려주기 때문이다.

 책은 엄마와 딸이 살아온 삶과 앞으로 살아갈 삶을 사랑하는 법을 보여준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바로 엄마 때문이다. 아이를 잉태하는 순간 자신이 아닌 엄마로 살아가는 모든 여자를 떠올린다. 저자는 엄마의 부재를 견디며 사는 모든 딸들에게 엄마를 불러온다. 집을 지으면서 점점 가까워지고 서로를 더욱 존중하고 사랑하는 엄마와 딸, 가족을 통해서 말이다.

 ‘처음엔 엄마에게 창은 바깥으로 뚫린 통로의 의미였겠지만 이제는 점차 바깥이 들어오는 소통의 의미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차경(借景)이다. 엄마의 창은 바깥 세계의 풍경을 빌려주는 도구이다. 엄마는 창으로 보이는 소나무가 제일 좋다 하신다. 나는 엄마의 밭이 제일 좋다. 엄마가 낸 창으로 보이는 엄마의 성실한 밭과 그 밭 위로 펼쳐지는 넓고 깊은 하늘이 나를 감격스럽게 만든다.’ 156쪽

 집을 짓는 과정은 여타의 책들과 비교해 색다른 점은 발견할 정도는 아니다. 저마다 집에 대한 생각이 다르겠지만 말이다. 책에서는 엄마의 의견을 가장 존중한다. 엄마의 집이므로, 창을 많이 내고, 튼튼하고 따뜻하게 몇 겹의 자재를 두르고 엄마가 원하는 대로 지어진다. 집을 짓고 사용할 물건들을 준비하며 엄마와 딸은 얼마나 행복했을까? 엄마가 되고 40여 년이 지난 후에야 비로소 자신만의 공간을 갖게 되는 마음을 감히 헤아릴 수 없다. 그건 한 아이의 엄마로 살고 있는 저자도 다르지 않을 것이다.

 ‘엄마에게 그림을 드리면서, 엄마의 물건 중 내가 좋아하는 것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물려받고 싶은 것도 없다는 생각에 이르자 슬픔이 밀려왔다. 내가 아무것도 받을 수 없다는 것 때문이 아니다. 내가 받을 것이 없다는 것은 엄마가 그동안 아무것도 소유하지 못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257쪽

 현재의 삶이 주는 기쁨과 즐거움은 고단했던 지난 삶을 추억하고 여미는 힘이 된다. 아무것도 없던 땅 위에 우뚝 선 집처럼 말이다. 인문학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이의 글이기 때문에 집이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고 포옹해주는 유기체로 새롭게 보인 건 아니다. 다만, 우리가 놓치고 몰랐던 부분을 일깨워주고 각인시켜 기억하게 만든다. 그리하여 삶을 사는 동안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다시 한 번 돌아보고 다짐하게 만든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