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도 11월 인가기준 마련 예상
인뱅 추가설립 긍정적 시각 고개
인가 준비중 컨소시엄 향배 주목
[화이트페이퍼=고수아 기자] 최근 금융당국이 제4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심사기준을 11월까지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은행들의 컨소시엄 참여 여부 등에 대한 관심이 다시 쏠리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의 최근 발언으로 제4 인뱅 관련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병환 위원장은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인가 심사기준 가이드라인을 11월 중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월 ‘인터넷전문은행 도입 성과 평가 및 시사점’ 세미나에선 당국의 부정적 시각이 드러난 상황인데,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으로 업계 분위기가 반전됐다.
현재 시장에서는 제4 인뱅 도전자로 더존뱅크, 한국소호은행, 유뱅크, 소소뱅크, AMZ뱅크 등 5개 컨소시엄을 언급한다. 과거 인뱅 인가 기준을 보면 자금조달방안의 적정성과 금융발전, 사업계획의 포용성 및 안정성 등 큰 틀을 충족하는 것이 필수다. 이외 세부 사업계획 경쟁력도 중요하다.
가장 큰 관건은 자본력으로, 시중은행 참여 여부가 관심사다. 앞서 KB국민은행(카카오뱅크), 우리은행(케이뱅크), 하나은행(토스뱅크), NH투자증권(케이뱅크) 등은 지분 참여를 했었다. 규정상 기존 은행이 컨소시엄에 참여해 인뱅 지분을 보유할 수 있는 비율은 15% 이내다.
자본 충당을 위해서는 자금조달 여력이 중요한데, 인뱅 초기 시장안착까지 필요한 자금 규모가 약 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초기 자본금은 케이·토스뱅크가 2500억 원씩, 카카오뱅크는 3000억 원으로 시작했다. 특히 2019년 말 예비인가를 받았던 토스뱅크에는 장기간(7년)의 단계적 증자 계획이 요구됐다.
현재는 신한은행을 비롯해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등 인터넷은행 지분 참여에 미온적이었던 은행들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신한은행은 더존뱅크(검토), 기업은행은 유뱅크(검토), 우리은행은 한국소호은행(확정)에 각각 참여를 검토하거나 확정했다.
신용평가모형(CSS) 경쟁력도 큰 관심사다. 데이터 경쟁력 측면에선 전사적자원관리(ERP) 업체인 더존비즈온 주축의 더존뱅크, 캐시노트를 운영하는 한국신용데이터(KCD) 주축의 한국소호은행 등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뱅크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온투업)체 렌딧, 루닛, 자비스앤빌런즈(삼쩜삼), 트래블월렛, 현대백화점 등이 합류해 있다. 소소뱅크는 35개 소상공인 유관 단체와 11개 정보통신기술(ICT) 업체 등이, AMZ뱅크는 농업 유관 단체가 참여한다.
인뱅 투자에서 극단적인 성공 사례는 우정사업본부가 꼽힌다. 우본은 2015년 카카오뱅크 컨소시엄에 참여해 6년간 총 1000억 원가량을 투자, 카뱅 상장 직후인 2021년 9월 1일 보유지분 3.23% 중 2.9%를 블록딜(시간외대량매매)로 처분했다. 처분 규모는 총 1조944억 원, 최종 수익률은 약 1095%에 달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터넷은행이 은행 경쟁에 기여하고 있음을 명확히 단정짓기는 아직 이르다는 분석 등이 존재하는 상황이어서 인뱅 추가 인가가 필요한 환경인지 의문을 갖는 시각도 있다.
지난 6월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의 분석자료를 보면 가계대출시장 시장집중도 감소에 인터넷은행이 일부 기여했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하지만 규제환경상 현행 인터넷은행의 영업범위는 가계대출 위주이고, 개인사업자 대출은 2022년부터 시작됐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허쉬만-허핀달지수(HHI), 기업집중률(CR3)이 2015년 각각 1300과 50%에서 2023년 1045, 44%로 낮아졌다. 2017년~2023년 연평균 성장률에서도 인터넷은행은 55.5%로 일반은행 8.3%를 압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예금과 대출시장의 HHI, CR3은 2015년 이후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인뱅들이 초기에만 중·저신용자 등을 말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주담대, 고신용자 영업으로 넘어간 측면도 있다"며 "당국이 무조건 인가해 준다는 게 아닌 만큼 자금력과 사업계획 설득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