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F 사태’ 여파에 DLS 시장 31% 감소...금감원 “리스크 요인 여전”
‘DLF 사태’ 여파에 DLS 시장 31% 감소...금감원 “리스크 요인 여전”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1.02.10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감원 “DLS 시장 전반 모니터링·세부 감독 강화할 것”
DLS 시장이 DLF 대규모 손실 사태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사진=금융감독원)
DLS 시장이 DLF 대규모 손실 사태 등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사진=금융감독원)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기타파생결합증권(DLS) 시장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국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대규모 손실 사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DLS 시장 규모는 12조7000억원으로 전년 말(16조1000억원) 대비 31% 감소했다.

DLS는 주가연계증권(ELS)의 기초자산인 주식·주가지수 이외에 신용, 펀드, 금리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발행하는 원금 비보장형 파생결합증권을 의미한다. 2005년 도입 후 한때 17조원대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2019년 DLF 사태 등으로 위험요인이 크게 부각되면서 축소세를 보이고 있다.

기초자산별로는 신용(4조4000억원, 34.3%), 상장지수펀드(ETF)(2조5000억원, 19.6%), 펀드(2조4000억원, 19.0%), 금리(2조2000억원, 17.2%), 원자재(1조3000억원, 9.9%) 등 순으로 많았다.

신용을 기초로 한 DLS는 다른 기초자산과 달리 최근까지 꾸준히 발행 및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기초자산으로 삼은 기업 등이 부실화할 경우 원금손실이 발생하지만, 주로 국가·공공기관(LH공사 등)·대기업 등 신용도가 높은 대상을 기초로 발행되고 있어 대규모 원금손실 가능성이 작다는 점이 수요를 뒷받침하고 있다.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는 최근 독일 헤리티지, 홍콩계 젠투 등 일부 펀드를 기초로 한 DLS의 환매 중단 등으로 손실 위험이 확대되면서 신규 발행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작년 6월말 잔액 2조4000억원 중 약 62%(1조5000억원)에서 환매 중단 사유 등이 발생했다.

금리 기초 DLS는 DLF 사태 이후 신규 발행·판매가 대부분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 개인 투자자의 손실 가능성은 작은 편이다.

원자재 기초 DLS는 유가 급락 등으로 원금 손실 우려가 커지는 듯했으나 최근 유가가 회복되면서 안정세를 되찾았다. 다만 DLF 사태 후속 조치로 공모발행 요건이 강화되면서 신규 발행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금감원은 DLS 시장의 양적 성장이 제한되고 질적 내실화도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일부 DLS에는 리스크 요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DLS 시장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규모 환매 중단 등 문제 발생 소지가 높은 펀드 기초 DLS에 대한 세부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