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료 연체·자산 매각 지연...해외 부동산 펀드 리스크 우려↑
임대료 연체·자산 매각 지연...해외 부동산 펀드 리스크 우려↑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0.12.16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임대료·이자 연체 발생하기도...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만기 도래
펀드연령 및 만기도래 현황. (출처=금융감독원)
펀드연령 및 만기도래 현황. (출처=금융감독원)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 부동산 펀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 일부 펀드에서 임대료나 이자 연체가 발생하거나 매각 여건 악화로 만기를 연장하는 사례가 속속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은 해외 부동산 시장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펀드 잠재리스크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전체 해외 부동산 펀드는 806개(운용사 77개사), 56조500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 중 상위 10개사가 59.1%(33조4000억원), 상위 20개사가 83.2%(47조원)를 차지하는 등 설정 금액이 상위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이 중 소규모 펀드를 제외한 해외 부동산 펀드 666개, 51조4000억원(커버리지 91.2%)을 세부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에 따르면 사모펀드가 49조2000억원(95.5%)으로 모집 형태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공모펀드는 2조3000억원(4.5%)에 불과했다. 만기 때까지 환매가 불가능한 폐쇄형이 51조2000억원(99.4%) 규모였다. 개방형은 3000억원(0.6%) 수준이었다.

투자 형태로는 임대형이 21조원(40.7%)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출형 17조8000억원(34.7%), 역외재간접 8조2000억원(15.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펀드 중 절반가량(25조6000억원)이 최근 1~3년 내 설정됐으며, 펀드의 평균 만기는 7.6년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해외 부동산 펀드의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에 7조8000억원(15.1%), 2024년 8조4000억원(16.4%), 2025년 이후 26조8000억원(52.1%)의 만기가 돌아온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펀드의 경우 대부분이 장기 투자로 단기 경기 움직임에 대한 민감도나 유동성 리스크가 적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일부 펀드에서 나타나고 있으므로 잠재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점검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은 "현재 일부 펀드에서 임대료(실물 보유 시)나 이자(대출채권 보유 시) 연체 등이 발생하거나 매각 여건 악화로 만기를 연장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며 "경기회복 지연 시 펀드 수익성이 하락하고 엑시트(자금회수)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외 부동산을 포함한 대체투자펀드 잠재리스크 요인을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한편, 자산운용사가 동 규준에 따라 대체투자펀드를 설정·운용하고 있는지 자체 점검하여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토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