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홍역 혹독했다...증권가엔 조직개편 '강풍'
사모펀드 홍역 혹독했다...증권가엔 조직개편 '강풍'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0.07.13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실자산 편입으로 환매중단 된 사모펀드 4조6000억원 육박
제2의 라임사태 막는다...신한금투·대신증권 “사후관리 강화”
KB증권, 소비자보호본부 신설
사모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로 혹독한 홍역을 치른 증권사들이 최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사진=연합뉴스)
사모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로 혹독한 홍역을 치른 증권사들이 최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사진=연합뉴스)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사모펀드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로 혹독한 홍역을 치른 증권가에는 조직개편 바람이 불고 있다. 금융상품 출시와 판매에만 포커스를 뒀던 기존 체계에서 벗어나 ‘사후관리’까지 범위를 넓혀 또 다른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그동안 자체 내에서 출시하는 상품만 관리하던 범주도 외부(자산운용사) 상품까지 확대한다.

13일 신한금융투자(신한금투)에 따르면 이 증권사는 이달 초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펀드 등 상품공급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을 내부에서 통제해 제2의 라임자산운용 사태를 사전에 방지한다는 게 주 목적이다.

이를 위해 신한금투는 ‘상품심사감리부’를 업계 최초로 출범시켰다. 상품심사감리부는 ▲출시예정인 내부 상품 사전심사 ▲자산운용사 상품 사전심사 ▲상품 사후관리 모두를 관리한다. 즉 하나의 본부에서 신한금투 자체내에서 출시하는 금융상품과 신한금투에서 판매하는 외부운용사 상품까지 전부 들여다보고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다양한 상품공급 부서를 IPS(Investment Products&Services) 본부 한곳에 편제해 상품공급체계를 일원화하고 안정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한금투는 기존 헤지펀드운용본부, 신탁부, 랩운용본부를 IPS본부로 편제했다. 이에 따라 IPS본부가 펀드, 신탁, 랩 등 주요 금융상품 공급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신한금투의 조직개편과 관련해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상품의 사전·사후 관리를 한 곳에서 전담한다면 여러 부서에서 분담하는 기존 방식보다 효율적일 수 있고, 관리 자체가 전문적으로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평가했다.

라임사태로 타격을 받은 대신증권도 조직개편으로 고객 신뢰회복에 사활을 거는 모습이다. 최근 대신증권은 하반기 인사와 조직개편을 통해 금융소비자보호총괄 책임자(CCO)를 선임하고 산하에 상품내부통제부를 신설했다.

기존에는 금융상품 관련 관리감독 업무를 소비자보호부가 총괄했으나 앞으로는 상품내부통제부에서 상품출시부터 사후관리까지 모두 점검한다. 금융상품 출시부터 판매 과정이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등 금융상품 관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소비자보호총괄 CCO에는 김성원 상무를 임명하고 관리감독 책임자를 부서장에서 임원급인 부문장으로 격상시켰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금융상품 관련 관리감독을 기존보다 강화해 상품의 출시부터 사후관리까지 엄격하게 관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3월 KB증권도 라임사태 이후 소비자보호 강화 차원에서 '소비자보호본부'를 신설했다. 아울러 내부통제 강화 차원에서 하반기에는 고난도 금융투자상품 도입과 관련된 전담인력을 충원한다는 계획이다.

금융투자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최근 사모펀드 사태로 증권사들을 비롯한 금융당국까지 혹독한 홍역을 치뤘다”라며 “사태가 터지기 전까지는 사실 누구도 예상할 수 없었던 부분이다. 누가 감히 거대 금융기관을 상대로 서류를 위조하는 등의 사기를 칠거라고 생각했겠느냐. 앞으로는 이런 사태를 방지할 수 있는 독립부서나 기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또 각광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금융권을 강타한 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중단 사태를 시작으로 최근 옵티머스자산운용·디스커버리부동산펀드 등 잇따라 터진 환매연기로 금융권은 비상에 걸린 상태다. 업계에 따르면 부실자산 편입으로 환매 연기된 주요 사모펀드와 이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증권(DLS) 규모는 4조6000억원을 육박한다. 하지만 이 피해규모는 앞으로 더 확대할 수 있어 금융권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