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자산 증가 1위 현대카드...정태영의 리스크 관리 ‘구멍’ 뚫렸다
부실자산 증가 1위 현대카드...정태영의 리스크 관리 ‘구멍’ 뚫렸다
  • 장하은 기자
  • 승인 2020.07.09 1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현대카드 전략 ‘선제적 리스크 관리’...부실채권은 매분기↑
NPL대비 대손충당금 감소 1위도 현대카드
업계 하반기 포커스 ‘리스크 관리’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현대카드)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이사 부회장. (사진=현대카드)

[화이트페이퍼=장하은기자] 지난 1분기 부실채권 증가율 1위를 차지한 카드사는 현대카드였다. 또 이를 수습할 수 있는 여력 감소 1위도 현대카드였다. 지난해 내내 ‘선제적 리스크 관리’를 외쳤던 현대카드의 리스크 관리에 허점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고정이하여신(NPL)이 증가한 카드사는 현대·KB국민·신한카드였다. 나머지 롯데·삼성·우리·하나카드는 NPL이 감소했다. NPL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부실채권을 뜻하며, 금융사의 자산건전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다. 이 수치가 증가했다는 것은 회사의 비용으로 처리해야 할 채권이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회사의 건전성이 악화됐음을 뜻한다.

이 기간 NPL 증가 1위를 차지한 곳은 현대카드였다. 1분기 현대카드의 NPL수치는 1074억2900만원으로 전년 동기(716억5000만원)보다 50%나 급증했다. 같은 기간 NPL이 증가한 KB국민카드(12%)와 신한카드(8.6%)의 증가율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편이다.

현대카드의 NPL 증가세는 작년 1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지속됐다. 같은 기간 증가와 감소를 오가며 리스크관리에 몰두한 나머지 카드사들과 비교되는 대목이다. 지난해 내내 건전성 관리에 역점을 뒀으나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회사의 부실자산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는 있으나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은 의문”이라라며 “리스크 관리에 허점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했다.

순이익이 반토막 수준으로 줄어들었던 작년 3분기, 현대카드는 ‘고위험군 취급 제한’이라는 카드를 꺼내들고 카드론 취급을 줄였다. 당장의 수익이 줄더라도 잠재적인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는 판단이었다. 하지만 이 기간부터 NPL은 오히려 더 높은 폭으로 증가했다. 작년 3분기 968억원이던 현대카드의 NPL은 4분기 1002억원, 올 1분기 1074억2900만원으로 꾸준히 늘어났다.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도 부실채권 증가세는 지속된 것이다.

부실채권을 대비할 수 있는 여력 수준을 나타내는 대손충당금적립 감소 1위도 현대카드였다. 현대카드의 지난 1분기 NPL 대비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은 1157%로 전년 동기(1540%) 대비 25% 감소했다. 같은 기간 현대카드와 마찬가지로 부실채권이 늘어난 국민카드는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이 3% 증가했고, 신한카드는 4% 소폭 감소했다.

NPL대비 대손충당금적립율은 부실채권이 실제로 회수가 불가능해졌을 때 즉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여력 수준을 나타낸다. 회수가 거의 불가능한 NPL 특성상 대손충당금이 여력이 충분해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올해 하반기는 리스크 관리가 상반기보다 더 중요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코로나발 경제위기에서 대출자들의 상환능력이 좋아질 것이라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주로 중·저신용자로 구성된 데다 비교적 대출이 쉬운 특성으로 다중채무자가 많아 부도율과 손실률이 높다. 이들을 상대로 한 부실채권이 부실화할 가능성은 은행보다 훨씬 높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업계의 하반기 포커스는 리스크 관리다. 대출유예 고객과 신규 대출 고객 모두의 경제여력이 코로나 이전보다 나아졌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코로나19 대응 금융지원 추진현황 점검 및 향후계획’에 따르면 카드사 등 2금융권 중소기업, 소상공인 대출만기연장 규모는 약 8000억원(2만2000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금융통계정보시스템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금융통계정보시스템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