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절하고 눈물겨운 사모곡
애절하고 눈물겨운 사모곡
  • cactus 시민기자
  • 승인 2012.05.29 1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주영 소설...오직 자식을 위한 어머니 삶

[북데일리] 고 김점선 화백의 그림이 시선을 사로잡는 <잘 가요 엄마>(문학동네. 2012)는 제목부터 애달프다. 모든 이에게 엄마는 그런 존재이기 때문이 아닐까. 안타깝고 그리워 목이 메는 존재 말이다. 이 소설은 그런 어머니를 기록한 글이다.

소설은 새벽, 주인공(나)에게 걸려온 한 통의 전화로 시작한다. 병든 노모의 죽음은 예견되었던 것이다. 소식을 전하는 이부 동생도 애통함 보다는 그저 담담하다. 두 명의 남편을 두었지만 단 한 번도 행복하지 않았던 여자, 마음 속 응어리를 누구에게도 풀어 놓지 못하고 평생을 살아온 여자. 먹고 사는 일에 급급하여 자식을 돌보지 못했다는 죄책감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어머니의 죽음을 통해 지난 세월을 돌이켜본다.

작가는 현재와 과거를 오가며 어머니를 담아낸다. 일제강점기, 남편에게 버려져 홀로 주인공을 키우는 어머니가 얼마나 고된 삶을 살았을지 알면서도 따뜻한 한 마디를 건네지 못했다. 오히려 그를 싫어하고 미워했다.

'가난한 어머니는 하루종일 일해도 밥 한 끼 제대로 먹을 수 없었고, 월사금을 내지도 못했다. 그러니 집에서도 학교에서도 외톨이로 지내야 했다. 방학 때마다 찾아가는 외삼촌댁에서나 혼자가 아니었다. 그곳엔 자신의 마음을 읽어주는 애숙이 누나가 있었다. 그러나 외삼촌의 중매로 어머니가 재혼을 하면서 동생이 태어나고 더 겉돌았다.'

새아버지가 있었지만 여전히 일을 하는 건 어머니 몫이었다. 심지어 외삼촌 가족의 생계까지 어머니가 책임졌는데 그 이유를 알 수 없었다. 거기다 어머니는 원하지 않는 결혼을 앞둔 애숙이 누나를 야반도주 시킨다. 어머니는 잘못을 해도 호되게 꾸짖지 않고 언제나 죄인처럼 굴었다. 그런 어머니가 보기 싫어 집을 나온 후 오랜 시간 연락을 끊고 지냈던 것이다. 어머니를 모시는 동생이 있었기에 경제적인 도움만으로 자식의 도리는 충분하다고 믿었다. 동생이 기억하여 들려주는 어머니의 인생은 오직 큰 아들만 향해 있었다.

어머니의 삶 어디에도 자신의 안위를 위해 살아온 시간은 단 한 순간도 없었던 것이다. 한 평생 큰 아들을 그리워하면서도 그립다, 보고 싶다, 말 한 마디를 내뱉지 않았던 것이다. 그 숱한 회한의 시간과 화해할 수 있는 시간은 어디에도 없었다. 일흔이 넘은 나이를 살면서 어머니를 안쓰럽게 여기고 어머니의 마음을 헤아리려 했던 적이 없었다. 때문에 소설은 애절하고 눈물겹다. 내 어머니, 내 할머니의 모습이 겹쳐져서, 서러운 세월을 홀로 감당해야 했던 한 여자의 기구한 운명이 서러워서 아프고 아프다.

‘무언가 그 깊이나 의미를 도저히 알 수 없는 애매모호함이 주검의 얼굴에 묻어 있었다. 어머니의 표정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하면서 죽음이 비참한 종말이 아니라는 듯 편안해 보였다. 그 표정은 지금까지의 삶이 오직 생존만 하는 하찮은 상태로부터 해방되었다는 뜻으로 보였다. 우리가 보통 삶이라고 부르는 것과 죽음이라고 부르는 것 사이에는 아무런 장벽도 없다는 것을 증거해 보이려는 듯했다.’ p. 58

어쩌면 어머니에게 온통 가시밭길로 이어졌던 삶을 벗어난 죽음은 평온 그 자체였을지도 모른다. 그렇게 믿고 싶다. 어느 누구도 어머니의 삶을 이해할 수 없겠지만 인정해야 하지 않을까.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