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신용대출 127조원 넘어..."올해 140조원까지 늘릴 것"

시중은행,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등 기술력 자체 평가 '적극' 나서

2018-03-05     이희수 인턴기자

[화이트페이퍼=이희수 인턴기자] 기술력을 갖춘 벤처·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기술신용대출 규모가 지난해 127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시중은행이 기술전문인력을 활용한 기업 평가에 적극 나서고 있다.

5일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은행권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은 127조71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7.3%나 증가했다. 기존 중소기업대출의 연장 및 대환, 증액을 제외한 순수 기술신용대출 평가액(84조원)은 전년보다 25조5057억원 늘었다.

은행별로는 IBK기업은행의 기술신용대출 잔액이 39조7863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한은행(18조771억원), KB국민은행(18조367억원), 우리은행(15조2326억원), KEB하나은행(14조4835억원) 순이었다.

기술신용평가 대출은 지난 2014년 7월 박근혜 정부 때 창조경제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사업 초기 기업이나 중소기업이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담보와 자본이 부족해 대출을 받지 못하는 사례를 줄이기 위해서다. 현재 시중·특수·지방은행 등 총 17개 은행이 참여 중이다.

금융위의 은행업계 자체 기술금융 레벨 평가는 총 4단계로 구성되며, ‘레벨4’가 가장 높다. 이는 대출을 위해 은행을 방문한 기업들의 기술 전량을 자체 평가할 수 있는 단계다.

지난해 9월 금융위가 실시한 자체 기술금융 레벨 평가에 따르면 KB국민, IBK기업, 산업, 기업, 신한, 우리, KEB하나은행 등 6개 은행이 레벨3 수준의 기술평가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은행의 자체 기술평가 역량은 지난 2014년 기술금융 도입 이후 꾸준히 발전해왔다. 기업에 대한 기술평가가 곧 신용등급 평가로 이어지는 만큼, 자체 기술평가를 통한 데이터 축적은 은행에 필수적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별로 특정 업종에 대한 전문 인력을 두고 기술평가를 진행하고 있다”며 “외부로부터 전문 인력을 유치하기도 하지만, 은행 내부에서 관련 업무 경험을 통해 전문 기술 인력이 되기도 한다”고 전했다.

또 은행이 자체 기술평가를 담당하는 업종은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권 관계자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에 대해 재무 능력 등의 정량적 지표와 기술력, 사업성 등 정성적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용 등급을 매긴다”고 설명했다.

통상 특정 정부를 대표하는 금융상품은 다음 정부가 들어서면 추진동력이 약해지기 마련이지만, 기술신용대출의 경우 새 정부 출범 후에도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정부가 최우선 정책으로 내세우는 ‘일자리 창출’이 기술신용대출과 맥락을 같이 해서다.

정부는 올해 기술금융 공급을 140조원 수준으로 더 늘릴 방침이다. 주택담보대출 등 손쉬운 영업형태에서 벗어나 금융기관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회복해 일자리를 만들자는 취지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술력 평가를 기반으로 자금이 공급되는 구조를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