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속의 지식] 벼락치기 왜 효과 없을까?... 기억조절단백질 양 정해져 있어
[책속의 지식] 벼락치기 왜 효과 없을까?... 기억조절단백질 양 정해져 있어
  • 박세리 기자
  • 승인 2017.05.25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짜 나를 만나는 뇌 과학 시간> 김수용 지음 | 조재원 그림 | 우리같이

[화이트페이퍼=박세리 기자] 벼락치기 공부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국한된 시간 안에 많은 양을 외울 수 없는 데다 오래 기억하지 못해서다. <진짜 나를 만나는 뇌 과학 시간>(우리같이.2017)에 이를 생물학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대목이 나온다.

우리 뇌에는 기억을 형성하고 저장하는데 영향을 주는 조절 단백질 CREB가 존재한다. 이 물질은 활성제와 차단제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CREB 활성제의 경우 신경세포 사이의 새로운 연결을 촉진해 기억저장 활동을 돕는다. 이에 반해 CREB 억제제는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그런데 여기서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대목은 CREB 활성제다. 온종일 생성된다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CREB 활성제의 경우 하루에 정해진 양이 있다. 한마디로 시험을 코앞에 두고 벼락치기 공부를 할 경우 일정한 양의 CREB 활성제가 빠르게 소진되어 한 번에 많은 양을 암기하는 게 어려워진다.

결국 과학적으로 제한된 시간에 많은 양을 외울 수 없게 되고, 학습 내용이 장기기억으로 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CREB 활성제를 재생산하려면 반드시 휴식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공부 방법은 매일 주기적으로 학습 내용을 습득하고 휴식을 취하는 방법으로 장기 기억 저장고에 저장하는 길이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