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거미줄에 매달린 거미 같은 기분
혼자 거미줄에 매달린 거미 같은 기분
  • cactus 시민기자
  • 승인 2015.05.23 07: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영란의 <나의 고독한 두리안나무>

 [화이트페이퍼=북데일리] 충분한 사랑을 받지 못해도 아이들은 성장한다. 스스로 자라기 위해 보다 많은 고통을 견뎌야 하기에 아프다. 박영란의 <나의 고독한 두리안나무>(자음과모음.2011)는 그런 성장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소설 속 주인공 열세 살 윤희는 필리핀으로 유학을 왔다. 미용실을 하던 엄마와 연락이 끊기고 생활비도 오지 않는다. 필리핀에서 고아 아닌 고아가 되었다. 열세 살은 아이 쪽으로 더 기우는 나이다. 사립학교에 다녔고 좋은 하숙집에서 머문다고 하지만 열세 살의 나이가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별들은 어쩐지 반짝일 기분이 나지 않는 날인 것 같고, 뾰족하기만 한 초승달은 빛을 낼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친구를 만나고 오는 길인데도 쓸쓸한 기분이 든다. 어두운 밤에 혼자 거미줄에 매달려 있는 까만 거미가 된 기분이다.’ (47쪽)

 윤희에겐 낯선 나라에서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존재가 필요했다. 하지만 먼저 손을 내미는 진실한 친구는 없었다. 오히려 윤희는 어른들과 친구가 된다. 학교가 아닌 거리를 배회하던 윤희의 시선이 닿은 곳에 어른들이 있었다. 서울에서 온 데니슨 아줌마와 말이 통하지 않는 살라망고 아줌마는 윤희에게 친절하다. 윤희는 그들에게 슬픔을 발견한다. 이상하게도 불행해 보인다. 열세 살 답지 않게 어른스럽다. 그 과정을 아름다운 성장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 시절을 거부할 수 없으므로 스스로를 단련시킬 수밖에 없다.

소설에서 언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모국어에 대한 그리움과 동시에 나를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 같은 언어로 일상을 이야기한다는 것만으로도 외로움을 극복할 수 있다. 작가는 무척 섬세하게 열세 살의 심리를 그려낸다. 책 곳곳에 엄마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을 애절하게 표현한다.

‘망고나무 잎사귀들이 바람에 쓸려 싸, 싸, 싸,

 소리를 내면서 흔들리는 모습을 엄마도 한번 봐야 할 텐데! 허리에 붉은 상처가 깊게 파인 망고나무들이 얼마나 멋지게 버티고 서서 바람을 날려보내는지 엄마도 한번 봐야 할 텐데!

 싸, 싸, 싸. 싸, 싸, 싸아.

 망고나무 잎사귀들이 일제히 바람에 몰려나가는 소리를 엄마도 한번 들어봐야 할 텐데!’ (17~18쪽)

 두려움과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망고나무숲으로 향하는 윤희. 앞으로 어떤 삶이 펼쳐질까. 언젠가 지금 이 시절을 돌아 볼 때 두리안나무숲에서 보낸 시간은 어떤 의미로 남을까. 시리면서도 아름다운 시간으로 남을 것이다. 귀를 기울이면 싸. 싸. 싸. 싸아, 하는 숲의 소리가 들릴 것만 같은 책이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