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속의 눈부신 사랑
재난 속의 눈부신 사랑
  • cactus 시민기자
  • 승인 2014.10.15 1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캐런 톰슨 워커의 <기적의 세기>

[북데일리] <추천> 하루는 24시간, 일 년은 365일이다. 이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보편의 진리다. 누구도 하루가 25시간, 26시간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우리는 재앙이라 믿을 것이다. 규칙은 사라지고 불안과 혼돈의 시간을 살아가게 될지도 모른다.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는 어른과 다르게 아이들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캐런 톰슨 워커의 <기적의 세기>(민음사. 2014) 속 열한 살 줄리아처럼 말이다.

 어느날 갑자기 지구의 자전 속도가 느려진다. 방송과 언론은 이 현상을 ‘슬로잉’이라 부르며 무서운 미래를 예측한다. 캘리포니아 해안 근처에 사는 줄리아의 집도 마찬가지다. 감성적인 엄마는 쉽게 동요하며 산부인과 의사인 아빠의 출근도 막으려 한다. 아빠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말로 무시한다. 줄리아도 평소와 같이 스쿨버스를 타고 학교에 간다. 선생님은 술렁거리는 아이들을 달랜다.

 어른들은 식료품을 구매하거나 어디론가 떠난다. 그러나 사춘기에 접어든 줄리아의 관심은 오직 세스뿐이다. 같은 선생님께 피아노 레슨을 듣는 아픈 엄마가 있는 아이, 세스. 어른들은 슬로잉에 대해 요란하게 공포를 드러내지만 줄리아는 주변을 관찰할 뿐이다. 하늘에서 떨어진 죽은 새를 발견하거나 무심한 듯 아이들 속에서 세스를 찾는다.

 ‘시간은 계속해서 늘어났다. 우리의 하루는 삼십 시간에 가까워지고 있었다. 하루가 이십사 시간이었다는 사실이 아주 낯설게 여겨지기 시작했고, 하루를 호두 껍데기처럼 매끈하게 두 번의 열두 시간으로 딱 잘라 나누는 건 불가능하게 생각되었다. 그토록 단순하게 나눈 시간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의아스러웠다.’(104~105쪽)

 슬로잉이 계속되자 정부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한다. 클락 타임제, 그러니까 시간에 맞춰 생활을 하는 것이다. 해가 뜨지 않아도 아침 9시가 되면 등교를 하고 출근을 한다. 이에 반하여 태양이 뜨고 지는 것에 따라 생활하는 리얼 타임 생활자도 존재한다. 중력의 변화로 백야는 늘어났고 새들은 날지 못하고 고래는 떼로 죽어간다. 어쩌면 아빠가 엄마가 아닌 피아노 선생님에게 마음을 준 것도 그 때문인지도 모른다. 이처럼 모두에게 예측할 수 없는 삶이 주어졌지만 누군가는 슬로잉에 빠르게 적응하고 누군가는 슬로잉 증후군을 앓는다.

 ‘미래에 대한 예측은 점점 더 어두워져만 갔다. 하지만 세스와 나는 끄떡없었다. 몸속에 활기가 가득했다. 죽음은 이따금 삶의 증거가 되기도 했다. 쇠약해진다는 건 때로 살아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우리는 어렸고, 늘 배가 고팠다. 그렇기 때문에 점점 더 튼튼하고 강해졌다. 활기가 넘쳐 몸이 터질 지경이었다.’ (332~333쪽)

 작가는 피할 수 없는 재난을 열한 살 소녀의 시선으로 아주 섬세하면서도 담담하게 그려낸다. 몸과 마음이 자라는 사춘기의 심리적 변화를 솔직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더 아름답고 눈부신 소설이다. 어떤 재난도 오직 한 번 뿐인 첫사랑이 주는 기적만큼 대단하지 않았다. 슬로잉으로 인해 무너지는 어른들의 삶이 아니라 제목처럼 기적의 세기를 경험하고 살아가는 것이다.지지 않는 해와 뜨거운 열기에 대해 어떤 걱정도 없이 세스와 함께 모든 순간에 최선을 다하고 즐긴다. 특별한 성장소설로 기억되는 이유다.
 

화이트페이퍼, WHITEPAPE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